찰리영어교습소 애니로 배우는 영문법 41 부가의문문 중1

반말로 의문문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크게 노, 고, 나, 가로 끝내는 것이 있다
단, 의문사+부정의문문은 반드시 부정을 포함해서 해석해야 답변을 소를 수 있습니다!
이 의문문은 대답을 yes/no 로 하라는 의미도 동시에 전달한답니다
앞에서 배웠던 일반적인 의문문은 문장 첫 단어만 봐도 이게 딱 의문문이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간접의문문는 의문사와 접속사로 로 유도되어 주로 목적어로 쓰 인다
고로 의문문으로 만들게 되면 be동사가 직접 주어 앞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불확실한 사람을 나타내는 everybody, everyone, someone, anyone같은 것에 대해서는 they를 부가 의문문에 사용한다
진술 문장이나 부가 의문문에 Not이 있든 없든 대답이 긍정일 경우는 yes이고 부정일 경우는 no로 답한다
1 부가 의문문은 일반 의문문과 같이 주어, 동사 위치가 뒤바뀐 구조로 조동사 + 대명사로 구성된다
의문사 의문문과 부가의문문을 공부했답니다
Lets 는 Let us의 줄임말로 us 때문에 Shall we 로 다시 묻는다
had met 과거완료입니다. 현재완료, 과거완료에 쓰이는 have는 조동사입니다. 그래서 조동사로 부가의문문을 만들어야 합니다
12강까지는 들었어야 했는데 아직 9강이다
이런 isnt it?이 부가의문문입니다
그 여자의 회사에 투자하기 위해 , 그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
A는 B가 맞습니까?/입니까? 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럼 예문을 보시죠
진향자매가 피자를 좋아한다고 했는데 이왕이면 행사하는 날 사다줄려고 생각에서 오늘까지 기다렸다
왜 Do 로 시작을 안 하고 Are 로 시작하는지 몰라요
공손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초대나 제의는 주로 Wont you? Wouldnt you? 또는 Why dont you 로 시작합니다
앞의 문장이 긍정문이면 부정의 부가 의문문을 앞의문장이 부정문이면 긍정의 부가 의문뭉을 쓴다
오늘은 파트 2 오답 제거 기본 스킬과 파트 2에 등장하는 의문문을 종류별로 나눠 정리해 보고자 한다
Shes really nice, isnt she ? 그녀는 정말 나이스해요. 그렇지 않나요?
이 때는 일반적인 의문문이나 부정문+부가 의문문 을 사용한다
이건 더 쉽지요! 그냥 형용사나 부사 앞에 How만 들어가면 끝이에요
이 문장에서는 앞선 두 예시와는 다르게 일반동사가 쓰여서 부가의문문에는 do동사가 왔고,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므로 부가의문문에서도 과거형의 do동사를 써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것은 사람들이 소위 말하는 토익의 기술이나 스킬에 관련된 것이 아니었어요
틀리게 설명한 부분이 없는 것을 정답으로 고르면 훨씬 더 잘 풀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부가의문문에 대하여 공부하겠습니다
B Its such a relief to hear that 참 다행이다, 안도를 느낀다
회의 스케줄이 세 시간으로 잡혔는데, 당신 생각에는 정말 그렇게 오래 걸릴거라고 생각하세요?
꼼꼼하고 자세한 설명을 보고, 왜 그런 문법 규칙이 있는지 이해할 수 있겠죠?
부정문평서 뒤에는 긍정 부가의문문부정 평서문 + 긍정 부가 의문문 이 옵니다
그 소식을 오늘 발표할 거예요, 아니면 내일 하실 거예요? / 수요일 회의에서 할 거예요
You are satisfied with the result, arent you ? 결과에 만족하시죠, 그렇지 않나요?
단, 시제와 부정/긍정 형태에 따라 do, does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여기서 그렇지? 가 바로 부가의문문 역할을 하는 것이죠
그럴때는 Can you? You can? 이라고 하믄 됨. 니가 그걸 칠 수 있다고?의 줄임말이니까
Dont, Havent 등으로 시작하는 의문문입니다
이인칭 대명사는 말을 듣는 사람인 너와 너희를 의미하는 대명사를 말합니다
1.either, neither, whichever, both를 사용한 응답이 정답으로 자주 출제됨을 기억한다
의문사가 문장의 주어일 때는 의문사 + 동사 ?의 어순을 가진다
예 He put the wallet back into his bag 그는 가방에 지갑을 다시 넣었다
문장이 부정이면 긍정형태로 꼬리말을 붙이는데요
일반동사가 쓰인 문장의 경우 좀 복잡하니까 잘 들어야 합니다. 일반동사가 쓰였을 경우 주어의 인칭과 동사의 시제에 따라서 부가의문문은 do, does, did 를 이용해야 하거든요
Comments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