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노트북포함와 모니터 전원케이블 보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노트북에서도 자주 발생됩니다
바로 그 자리에 AD 보드 사진상에서 왼쪽에 있는 보드의 주요 칩에 부착된 방열판과 내부 프레임이 서로 딱 붙어 있고, 그 부위에 아까 봤었던 패드가 다시 부착되어서, 메인 칩들의 열기를 모니터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빨간불이. 들어오는 상태입니다
여기 고장이에요 하고 외치는 듯 합니다
이것을 해결이 되어야만. 정상. 테스트가 가능한데요
LED 패널의 경우, 부분적으로 어두워지는 현상이 가장 의뢰가 많습니다
우선 패널 LED 에 전압을 공급해주는 DCDC 보드도 출력부가 4채널 이네요
전원 램프에 불이 안 들어오고 있고, 화면도 안 나옵니다
삼성 27인치 TV 겸용 고쳐서. 사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높은 전압이 들어가면. 내부 쇼트가 발생하게됩니다
누가 숫자를 적어놨더군요. 아마도 케이블 순서를 헷갈리지 않으려고 저렇게 한 것 같은데 어차피 커넥터의 모양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잘못 끼울일은 없습니다
안정적인 전압 출력과 영상을 만들어 주죠
삼성은 14볼트. lg의 경우 19볼트가 많습니다
31MU97-B의 해상도는 3840 X 2160, 흔히들 말하는 4K입니다. 액정 크기에 비해서 해상도가 굉장히 높다보니 글자가 좀 작게 보입니다만 이건 윈도우 상에서 비율 변경으로 해결할 수 있으니, 어찌되었든 고해상도가 더 좋다고 봅니다
컴퓨터에 연결해보니 모니터 화면도 잘 나오고 있죠. 그럼 지금까지 LG 모니터 31MU97-B 모델의 전원 고장 수리 과정이었습니다
요건 AD보드입니다. 노바텍 칩셋을 사용 하네요
다른 모니터였다면 이런 경우에 파워 보드를 제일 의심해보겠지만, 이 모델은 AD 보드 불량으로 이런 현상이 생깁니다. 좀 특이하죠
패널 불량의 경우에도 수리가 가능한데요
수리를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를 분해해야하는데, 뒤쪽 케이스가 처음에는 상당히 안 벗겨질겁니다. 왜냐면 오른쪽 사진을 보면 네모난 고무 같은 것이 달려있죠?
열 관리는 상당히 잘 되게끔 해놨는데 그래도 항상 이 보드가 말썽이네요
AD 보드를 수리하고 나서 전원 버튼을 누르니, 아까는 볼 수 없었던 파워 램프가 이제는 잘 켜집니다
깨알 만한 SMD IC 의 마킹은 약자로 되어있어 찾기도 힘들뿐더러 구하기도 쉽지 않아요
노시그널 또는 신호없음 과 같은 메세지 이죠
부분적 수리를 하지 않고, 전체를 갈게 됩니다
써멀 패드인데 상당히 접착력이 강해서 케이스 처음 제거해본 사람이라면 당황할 정도로 강하게 붙어있어요
LG 31MU97-B 모니터가 전원 고장을 수리해보겠습니다
모델명은 GT-M270LED 이며, 그린씨엔씨 제품 입니다
나 여기 아파요. 빨리 여기를 와줘요. 고쳐주세요
나머지 붙이는 기술,, 자재 섭외는 누구나 할수 있는 거죠
수리 가능합니다. 약 2시간 소요됩니다
그러나, 고장나면 거의다 SMD타입이고 IC도 작아 인쇄도 알아 볼수 없습니다
참으로 쉬운일은 없는 법. 하루 걸렸네요
큰 전력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크기도 작아지고 그만큼 열도 덜나게 설계되 있습니다
아님. 다른 작은 소자 일수도 있습니다
통합 보드 한장으로 모든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김포,시흥,서울,부산에서도. 납땜이 필요하다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정밀한 . 세밀한 납땜 수리 등. 바로 해결해드립니다
정확히 말하면. 14볼트가 들어가는데.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쇼트난 상태입니다
살때 비싸고 주고 사지 않았을까 하네요
일반인들이 많이 아시는 백라이트 수리.에 해당하죠
Comments (4)



